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례상 지방쓰는법(추석) 출력가능

차례상 지방쓰는법 확인

몇일 앞으로 다가온 추석명절.

고향에 못가거나 많은 분들이 모이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마음만은 풍족하시길 바랍니다.

명절 차례상을 차리고 차례를 지내는 가정에서는 지방을 준비하실텐데요.

오늘은 차례상 지방쓰는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상 지방쓰는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돌아가신 조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종이로 만든 신주입니다.

제사 문화가 많이 간소화 되면서 고조부모, 증조부모 한분 한분 제사를 지내던 풍속은 많이 사라진듯  합니다.

그래도 가족중에 아버지나 어머니, 또는 남편, 아내, 형제 분이 돌아가신 경우라면 제사를 지내실 텐데요.

제사를 지내는 분과의 관계 그리고 성별에 따라 지방이 달라지니 꼼꼼히 살벼보시길 바랍니다.

남자(할아버지, 아버지, 형, 남편 등) 지방쓰는법
  • 일반적으로 남자의 경우에는 특별한 성을 적지 않습니다
  • 현고-아버지, 현조고 - 할아버지, 현증조고-증조할아버지, 현조고-할아버지, 현벽-남편, 현형-형을 나타냄
  • 학생 -조상의 벼슬 또는 직위를 의미하나 계속해서 배운다는 의미로 학생이라 씀.
  • 부군 - 남자, 남편을 높여 부르는 말
  • 신위 - 고인을 모신다는 뜻
여자 지방쓰는법
  • 현조비 - 할머니, 현비-어머니, 현증조모-증조할머니, 망실/고실-아내 (제사 올리는 사람과 조상과의 관계).
  • 유인 - 사대부의 부인을 의미하며 여성을 존칭하는 말로 사용됨
  • 본관성씨 - 제사 대상자인 여자분의 본과 성을 적음.(남자는 본과 성을 적지 않지만 여자는 본과 성을 적음)
  • 신위 - 고인을 모신다는 의미

지방쓸때 관계용어

고조할아버지를 칭할때는 현고조고, 고조할머니는 현고조비

증조할아버지는 현증조고, 증조할머니는 현증조비

할아버지는 현조고, 할머니는 현조비

아버지는 현고, 어머니는 현비, 

남편은 현벽, 아내는 망실 또는 고실이라 칭하고

형은 현형, 동생은 망제 또는 고제,

자식의 경우에는 망자 / 고자라 적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지방 규격

지방 규격은 넓이 6cm, 길이 22cm 의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에 붓으로 작성했지만 요즘은 한글로 쓰거나 프린트로 출력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제사를 지내는 두분 모두 돌아가셨다면 왼쪽에는 남자, 오른쪽에는 여자분을 적고 두분 중 한 분만 돌아가셨다면 가운데에 돌아가신 분만 지방을 쓰면 됩니다.

아버지 지방쓰는법/ 어머니 지방쓰는법

요즘은 윗 조상님들은 한날에 제사를 지내고 부모님이나 가까운 가족 제사만 별도로 지내는 가정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아버지 지방에 쓰이는 현고학생부군신위라는 어휘는 익숙합니다.

 

형수/형 지방쓰는법

돌아가신 형 차례상 지방쓰는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형을 나타내는 '현형'이라는 단어만 바뀌면 됩니다.

현형학생부군신위

돌아가신 형수라면 '현형수'로 바꾸고 형수님의 본과 성을 넣어줍니다.

현형수유인(형수님의 본과 성 예로 경주이씨, 김해김씨, 밀양박씨)신위

아내(오른쪽) 남편 지방쓰는법

남편이나 아내의 차례상 지방쓰는법입니다.

남편의 지방을 쓸때는 아래와 같이 '현벽'을 넣어 현벽학생부군신위라고 적습니다.

현벽학생부군신위

아내의 경우에는 '고실'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아내의 본과 성을 넣어줍니다.

고실유인(아내 본과 성 ex) 경주이씨, 김해김씨, 밀양박씨)신위

 

차례상 지방쓰는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는데요

규격에 맞춰 자른 흰 종이에 한글로 직접 써도 무방하지만 편하게 출력을 원한다면 첨부된 파일을 열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추석 지방쓰는법.hwp
0.01MB